2021 청년저축계좌 신청방법

 

청년저축계좌란, 본인이 매월 10만원씩 적금하게되면, 정부지원금 30만원이 추가되서 월 40만원을 지원해주는 정책입니다. 3년간 총 1440만원을 지원받게되니 받을 수있는 조건만 된다면 무조건 받는게 좋겠습니다.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혹여 나는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청년저축계좌 자격 조건

    일단 기본적으로 근로활동을 지속하고 있어야합니다. 근로활동중 정규직, 아르바이트 등 모두 가능하고 3년간의 근로활동을 지속해야하며, 통장 가입기간내에 국가공인 자격증을 취득해야합니다. 1개이상만하면되니, 마음먹고 시작하시는김에 자격증까지 취득한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겠네요. 근로활동외에 나이제한도 있습니다. 만 15세 ~ 만 39세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조건이 좋은만큼 자격또한 만만치가 않은데요. 기준 중위소득 50%이하에서 걸리시는 분들이 많을거라고 예상됩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고 자신이 어느소득에 속해있는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저축계좌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913,916 1,544,040 1,991,975 2,438,145

     

    청년저축계좌 신청 방법

     

    매번 신청기간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니 참고하셨다가 자신이 기준이 적합하다면 신청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매년 4월과 7월에 진행되니 신청하고싶으시다면 미리 기억해두셨다가 하는게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점점 혜택을 받는 인원이 늘어나고있고, 올해는 13,400명까지 확대되었으니 자격 조건만 되신다면 일단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 

     

    신청방법은 자신의 주민등록 주소지의 주민센터에 방문하시고 자기 진단표 작성 후 서류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제출 서류는 아래를 보시고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① 각 동 주민센터에서 자기진단표 작성

    ② 사회복지 서비스 및 급여제공 신청서

    ③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④ 근로활동 증명(재직증명서 등)

     

     

    청년저축계좌 중복 혜택 불가

    청년 저축계좌는 중소기업 취업 청년들이 주로 가입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중복 혜택이 불가합니다. 거의 비슷한 혜택이지만, 지원하는 방향이 다르기때문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채를 신청하는 대부분은 중소기업의 정규직이지만 청년저축계좌는 불안정한 일자리인 사람들이 대부분이기에 방향이 다릅니다. 자신에게 맞는 혜택으로 하나만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청년저축계좌 주의사항

    청년저축계좌에 가입했다면 3년동안 계속해서 근로활동을 지속해야합니다. 또한, 민간 자격증이아닌 국가공인자격증을 1개이상 취득해야하기때문에 이것또한 꼭 신경써서 유지해줘야합니다. 운전면허증은 대형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1년에 꼭 한번씩 이수해야할 교육이 있기때문에 주의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지원인원이 점점늘어나는만큼 대상자라고 확신이된다면, 꼭 미리미리 정보 숙지하셔서 신청해 목돈 모아보시길 바랍니다. 정부 혜택은 받을 수 있는만큼 다 받아야하니까요. 이만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